티스토리 뷰
동서양을 막론하고, 지능이 매우 떨어지는 것으로 간주되는 생물이 있다면 바로 새일 것입니다. 국어사전에 ‘새대가리’를 입력하면, ‘우둔한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이라는 설명이 있을 정도이니 말이죠. 그런데 런던 퀸메리 대학의 인지 생물학 부교수이자, 까마귓과와 유인원, 앵무새의 사회 심리학적 행동 이해하기 위해 연구하는 나단 에머리 박사의 <버드 브레인>을 읽으면, 이것이 얼마나 잘못된 편견인지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부제 역시 ‘새대가리? 천만에! 조류의 지능에 대한 과학적 탐험’이죠. 이솝 우화에 그런 이야기가 있습니다. 목이 마른 까마귀가 항아리의 물이 부리에 닿지 않자, 돌을 넣어서 물을 마신다는 것이죠. 사실 이는 말 그대로 우화인줄 알았는데요. 이 책을 읽고 나니, 이 것이 어쩌면 실제로 본 모습을 가지고 조금 더 살을 붙인 것이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들 정도더군요. 몇 종류의 새들은 실제로 도구를 사용할 줄 알았고, 떼까마귀 역시 그런 새였거든요. 여기서 몇 종류라는 것 역시 잘 알아둬야 하는 개념입니다. 새는 알려진 것만으로 1만종이 넘는 분류 군을 갖고 있는데요, 이들은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적응하여 각기 다른 능력을 갖고 있습니다. 우리가 살아가기 위해 자연환경을 뒤바꿔버리는 인간과는 참 다른 모습이기도 하죠. 거기다 철새들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그들이 갖고 있는 항법기술은 말 그대로 인간의 것보다 발전된 형태이기도 했는데요. 책을 읽으면서 내내 놀라움의 연속이었습니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얼마 전에 동물들이 만드는 둥지에 대한 책을 읽으면서, 새가 주위환경을 어떻게 이용하고 적응하는지 확인할 수 있었고요. 또 비둘기 편지 같은 것이나, 철새, 그리고 대형을 이루면서도 체력을 유지하기 위해 순환하며 이동하는 새의 움직임도 알고 있었는데요. 막상 그것을 그저 야생의 본능으로만 이해하고 있었던 것 같아요. 새와 거의 맞먹는 수준으로 머리가 나쁜 것으로 알려진 물고기의 지능에 대한 책을 얼마 전에 읽은 적이 있습니다. 바로 <물고기는 알고 있다>인데요. 아무래도 이들에 대한 연구가 비교적 최근에 이루어졌기 때문이라고 하지만요. 새와 물고기는 인류가 존재하기 전부터 이미 있던 생명체이잖아요. 아무래도 사람들 사이에 만연한 편견과 인간이 만물의 영장이라는 오만함이 한 몫 하지 않았나 싶네요.
새대가리? 천만에!공중의 아인슈타인이라 불리는 조류 지금까지 알던 새에 관한 상식을 뒤집다! 지능을 갖춘 새를 탐험하라 우리는 하늘을 자유롭게 날아다니는 새를 보면 ‘나도 날고 싶다’며 부러워한다. 라이트 형제는 어쩌면 창공을 나는 새를 보면서 비행기를 만들 꿈을 키웠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결코 새의 지능을 부러워한 적은 없다! 심지어 새의 인지능력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끔찍한 평판을 받고 있다. 멍청함을 비유할 때 ‘새다가리’라는 말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과학자들은 새의 비행, 새끼 오리의 각인, 노래 학습에 대한 연구 전통이 오래됐음에도 새에게는 ‘인지’라는 용어를 애써 피해왔다. 하지만 1990년대에 시작된 선구적 연구 덕에 새의 지능은 새롭게 조명되었고, 이 글을 쓴 나단 에머리 박사는 그 선두에 서 있다. 대단히 흥미롭고 새로운 분야의 개척자인 저자가 각종 사진과 수려한 컬러 일러스트와 함께 흥미진진하게 정리한 버드 브레인: 새대가리? 천만에! 조류의 지능에 대한 과학적 탐험 을 읽고 ‘새대가리’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떨쳐보자.
머리말
서론
CHAPTER 1 새대가리에서 깃털 덮인 유인원으로
CHAPTER 2 그 벌레를 어디에 숨겼을까
CHAPTER 3 메시지 전달하기
CHAPTER 4 깃털 덮인 친구(그리고 적)
CHAPTER 5 그 일에 적합한 도구
CHAPTER 6 너 자신과 다른 개체를 알라
CHAPTER 7 이제는 새대가리가 아니다
용어 설명
참고 문헌
추가 참고 자료 & 찾아보기
감사의 말 & 사진 출처
- Total
- Today
- Yesterday
- 세계 최고의 여행기 열하일기 하
- 어제가 없는 남자
- 이집션 블루
- 천적 3
- 로마 제국 - 교유서가 첫단추시리즈 5
- 당신의 아이는 원래 천재다
- 수학이 불완전한 세상에 대처하는 방법
-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14
- Newton Highlight 신비한 수학의 세계
- 기적의 유아영어 알파벳
- 래디컬 투게더
- 그래서 이런 지명이 생겼대요
- 숨비소리 2
- 이세계는 스마트폰과 함께 6
- 건강생활 에이스
- 제국의 변호인 박유하에게 묻다
- HM의 기억
- 나는 퍼그
- 디딤돌 초등수학 기본+응용 3-2 (2020년)
- 페이퍼로드 기행
- 어린이 과학 형사대 CSI 시즌1 1~10권 세트
- 허니 (1Disc)
- 기호학자를 만나다
- 엄마 학교 이야기
- 영원한 사랑에 대한 집착 : 유민이야기
- 일기쓰기 어떻게 시작할까
- 시소의 감정
- 미드나잇 저널
- 우리들의 기적
- 어쩌면 글을 잘 쓰게 될지도 몰라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